sub_left
search

 

 

ȭ
ȭ

지역 축제는 시민의 복지다

  / 2015-04-10 09:26:08

[ 中文 瀏覽 ]


봄의 향기와 함께 축제의 장이 시작됐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지역 축제가 있는가 하면 연례행사라며 명맥만 유지하는 축제, 타 지역의 축제를 모방한 유사축제, 새로 취임한 지자체장이 추진하는 신생축제도 도처에서 펼쳐지고 있다. 관계부처에서 정확한 통계조차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지역축제가 난립하면서 존폐와 통폐합 등 축제가 해마다 구조조정 논란에 휩싸인다. 지역 주민 축제의 장으로서 신명 나는 잔치가 돼야 하지만, 관계자들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는 것은 예산문제 때문이다. 국, 시ㆍ도비를 지원받는 지역축제는 더 많은 예산을 받기 위해 지자체 간 각축전을 벌이고 자체 예산으로 치러야 하는 축제는 예산 확보에 혈안이 된다. 실제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는 전국 문화관광축제 선정이 심각한 공정성 논란을 빚기도 했다. 올해 20년째를 맞는 ‘문화관광축제 지정사업’은 문체부가 전국 지자체의 우수 축제를 선정해 등급별로 총 60억 원의 정부 예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심사위원 자격 문제가 불거지면서 편파 선정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지자체들이 반발한 것이다. 문체부는 지난해 연말 대표 축제 2개, 최우수 축제 9개, 우수 축제 10개, 유망 축제 23개 등 모두 44개 축제를 ‘2015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부족한 예산으로 행사를 치르다 보면 축제 본질이 훼손되거나 졸속으로 추진한다는 비난을 면치 못한다.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우선적으로 도마에 오르는 것이 축제예산이다. 전임자의 치적일 경우 예산을 축소하거나 폐지를 검토하는 등 구조조정을 시도한다. 그러다 지자체 예산문제가 수그러들면 새로운 축제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같은 문제는 민선 이후 다람쥐 쳇바퀴 돌듯 계속됐다. 지역 축제를 이기적 목적이나 정치적 도구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연 축제의 의미가 상실되거나 왜곡될 수밖에 없을뿐더러 지역주민이 외면하는 그들만의 축제로 개최된다. 축제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이해타산이나 정치적 목적으로 개최되는 축제는 당연히 폐지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운용돼야 할 것이다.

축제는 태곳적부터 전래한 민족의식이다. 원래 축제는 예술적 요소를 지닌 제의(祭儀)를 일컫는 말이다. 본래 성스러운 종교적 제의에서 비롯됐으나 오늘날에는 유희성을 포함함으로써 신성성이 퇴색되고 놀이문화로 진행되고 있다. 지역 문화축제는 그 지역주민들의 문화 욕구 충족과 지역 문화의 계승ㆍ발전, 공동체 의식 강화 등 지역의 성장 동력으로 기능한다. 특히 지역민들의 참여와 협조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주민들의 화합을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사실 현대인들은 일상에서 생활 질서를 넘어서는 언행을 자제하거나 행동에 규제를 받으면서 지낼 때가 많다. 축제는 일상의 규범에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심적 억압에서 해방될 수 있는 유일한 광장으로, 창조력을 키우고 생활의 활력을 북돋울 수 있으며, 지역을 활성화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이에 따른 지역의 생산ㆍ경제적 유발효과는 그 가치를 논할 수 없을 만큼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성을 따지면서 축제가 관광 상품으로 병행되다가 급기야는 축제의 본질이 퇴색되고 시장으로 둔갑하고 있는 실정이다. 애초에 지역의 농ㆍ축산물을 홍보하기 위한 순수한 생각으로 시작한 것이 지금은 축제를 통해 수익을 올리려는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어떤 상인들은 축제를 통해 한몫 챙기겠다는 과욕으로 인해 바가지요금 등으로 비난을 사고 있다. 심지어 일부 지자체에서도 예산이 부족하다며 축제를 관광 상품화해 예산을 보충코자 추진하고 있다. 축제를 상품으로 만들어 장사하겠다는 발상이다. 축제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의 일환으로 당연히 예산에 맞춰 무상으로 개최돼야 한다.

부산불꽃축제가 유료화를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심지어 100만 원짜리 좌석을 만들어 부대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도 개발한다고 한다. 일반 시민들이 느끼는 위화감과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한 정서적 손실은 100만 원 권을 팔아서 발생하는 이익보다 훨씬 클 것이다. 축제는 축제다워야 한다. 축제의 장을 시장으로 만들어서야 되겠는가. 지역 시민이 신명 나는 축제는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고 국민통합을 이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지역성장 유발효과는 자리를 팔아 얻는 수익보다 엄청난 효과가 있을 것이다.

 



글 l 전병열 본지 편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