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혜보각선사서’ 시 문화유산자료 지정
– 3.26. 기준, 시 보유 국가유산은 총 568건, 국가지정 91, 국가등록 23, 시지정 318, 시문화유산자료 129, 시등록문화유산 7
이근대 기자 lgd@newsone.co.kr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부산 범어사 괘불도(掛佛圖)와 괘불함(掛佛函)」이 지난 3월 18일 자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고시됐으며,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1점을 오늘(26일) 자로 시문화유산자료로 고시한다고 밝혔다.
먼저, 이번에 등록된 국가등록문화유산은 범어사 성보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부산 범어사 괘불도 및 괘불함」 1건 2점이다.
「범어사 괘불도 및 괘불함」은 지난 2월 25일 국가유산청 근현대문화유산분과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등록 의결돼 3월 18일 자로 등록 고시됐다. 이로써 시 소재 국가등록문화유산은 총 23건이 된다.
「범어사 괘불도(梵魚寺 掛佛圖)」는 1905년 금호약효 등 근대기를 대표하는 수화승들에 의해 제작된 대형 불화다. 함께 등록된 「괘불함(掛佛函)」은 괘불도와 같은 금속 장식이 부착돼 있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두 작품을 통해 근대기 불교 회화와 공예 수준을 살펴볼 수 있다.
「괘불도」는 전통 불화 도상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음영 기법을 적극 활용한 시대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 있어 근대기 불화 연구에 이정표가 될 만한 작품이며, 평소 괘불함에 넣어 주 불전의 불단 뒤쪽에 보관하다가 사찰 중정에서 열리는 야외의식 행사 시 괘불을 받치기 위한 석물인 괘불지주에 걸어 사용됐었다.

또한, 오늘(26일)자로 시문화유산 자료로 신규 지정된 보림사 소장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는 1574년 황해도 문화 구월산 월정사에서 간행된 목판본이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불서로서 중국 불서의 전래와 수용과정을 보여주는 한국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대혜보각선사서」는 중국 송나라 대혜보각선사의 편지글 모음집으로, 1200년경 고려에 유입된 이후 한국 선종에 큰 영향을 끼친 간화선의 지침서다. 특히, 중국 불서(佛書)의 한국 전래와 수용과정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서 한국 불교사 및 서지학 연구 분야에 자료적 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책의 표지는 낙장됐고 첫 장인 권수면(卷首面)도 마모는 있으나 뒷부분으로 갈수록 보존 상태가 양호해지며 간행 이력이 인쇄된 간기면도 온전하다.
이번에 국가등록된 문화유산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전자관보(gwanbo.go.kr)에서, 시지정문화유산은 시 누리집 고시공고(www.busan.go.kr/nbgosi)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3월 26일 기준으로 시 전체 보유 국가유산은 총 568건*으로, 지난해 대비 3건이 추가됐다.
조유장 시 문화국장은 “이번 3월 「부산 범어사 괘불도 및 괘불함」의 국가 유산 등록으로 우리시가 보유한 ‘국가등록문화유산’은 총 23건이고, 시 ‘문화유산자료’ 1점도 신규 지정됨에 따라 시가 보유한 전체 문화유산은 568건에 이른다”라며, “우리시는 가치 있는 문화유산을 지속해서 발굴함과 동시에 지역 문화유산을 누구나 누릴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ㆍ보존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