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으로 2020년 3월 23일 도입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757일 만인 4월 18일부터 전면 해제된다. 마스크 착용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는 2주 후 방역상황을 보고 결정한다. 또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현재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하고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계획을 추진한다. 다만 4주간의 조정 이행기를 두어 현행과 동일한 확진자 7일 격리를 유지하기로 했다. 5월 23일부터는 2급 감염병인 홍역 수두 등의 수준에서 관리되며 확진자 격리의무나 확진자 발생 시 즉시 신고의무 등이 사라진다. 코로나19 확진자도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와 치료를 받게 돼 독감 수준으로 취급되게 된다.
정부의 거리두기 전면 해제 결정은 오미크론 유행이 확실하게 내림세로 접어들었고, 향후에도 대규모 유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한편으로는 코로나19가 완전히 박멸되기는 어려워 위드 코로나 시대로 이어가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미크론 유행은 끝나지 않았다. 날마다 세 자릿수에 이르는 사망자를 줄이는 문제가 급선무다. 특히 고령층 등 고위험군의 보호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하루 평균 15만 명대를 유지하는 확진자 수도 줄여야 한다. 개인 방역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기후위기와 밀접히 관련 있는 팬데믹은 언제든지 재 확산될 수 있다. 사실 코로나19 충격이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이 최근 실업자·잠재구직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3명꼴로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4명이 우울증을 겪었으며, 취업난을 겪은 사람 중 30.5%는 극단적 선택까지 고려했다고 응답했다. 실제 극단적 선택을 계획하거나 시도한 경우도 각각 11.6%, 6.3%에 달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노동자들이 경제적 고통과 함께 생명을 위협하는 심리적 위기상태로 내몰려 있음이 드러난 것이다.
일상 회복과 함께 포스트 코로나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 사회가 지속 가능하려면 서민의 삶이 안정되어야 한다. 노동자들을 위한 일자리 대책을 강화하는 한편 사회안전망도 확충해나가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공동체 복원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일상은 회복 됐지만, 불안감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제대로 대책을 세워 실행하지 않으면 언제든 일상이 또다시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명이 기자 l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