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중원(中原) 지역 제철기술 복원연구 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에 대한 3차 발굴조사 결과, 3~4세기대에 만들어진 제련로 9기를 추가로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국내 3대 철 생산지이자 다수의 제철유적이 남아 있는 충주 등 중원 지역을 중심으로 고대 제철기술을 복원하기 위한 중장기 학술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6년부터 발굴조사를 해 이번에 확인한 9기를 포함해 올해까지 3년간 약 600여㎡ 면적에서 총 20기의 제련로를 발견했다. 충주 칠금동 유적이 명실상부 국내에서 단위면적당 최대 유적이었음을 다시금 확인했다.
이번 3차 조사는 ‘충주 탄금대’(명승 제42호)의 남사면 구릉지를 대상으로 작년 2차 조사에 이어 8월부터 진행하고 있다.
3차 조사 결과, 200여㎡ 밖에 되지 않는 좁은 공간에 3~4세기대 백제의 대표적인 원형 제련로를 무려 9기(12호~20호)나 확인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100여 년이 넘는 오랜 기간 조업을 위해 제련로가 수명이 다되면 폐기 후 폐기물을 쌓고 그 위에 다시 제련로를 축조하는 등 총 3개층(하층‧중층‧상층)에서 제련로를 중첩하여 축조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는데, 이러한 사례는 현재까지 국내에 알려진 것으로는 유일하다.
무엇보다도 이 유적에서 가장 주목되는 특징은 ‘지하구조’의 존재이다. 이는 제련로를 축조하기 이전에 바닥에 목재를 치밀하게 채우고 그 외곽으로 목재 말뚝을 박은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바닥의 목조시설(木造施設)은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로 기존에 조업면 바닥에 목탄과 점토, 모래를 채워 만드는 1차 방습시설 이외에도 이중으로 방습시설을 조성하였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하층‧중층‧상층 제련로 별로 이러한 지하구조의 조성양상이 변화하였으며, 점차 상층으로 갈수록 제련로가 간단한 방식으로 축조된 점도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제철기술이 발달하면서 후대로 갈수록 폐기층 위에 조성되어 방습의 필요성이 낮아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 결과는 백제의 제철기술사를 복원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로 기대된다.
발굴성과는 오는 22일 오후 2시 충주 칠금동 발굴현장에서 일반에 공개하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043-850-7813)로 문의하면 된다.
황정윤 기자 hjy@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