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left
search

 

 

ȭ
ȭ

혈세 먹는 하마로 전락한 국제행사장

  / 2014-10-06 10:01:01

대규모의 국제행사를 통해 한국의 위상을 세계에 빛낸다는 장밋빛 청사진으로 대회를 유치하고 수천, 수조 원의 혈세를 쏟아 붓고 시설을 건설하는 등 대회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기반을 구축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부푼 기대 속에 펼쳐진 국제행사는 화려한 팡파르를 울리며 세계인들의 이목을 끌고 성공개최의 샴페인을 터뜨린다. 하지만 대회가 끝나고 세월이 지나면 정작 남는 것은 세금 먹는 하마와 빚뿐이다. 매년 적자 운영으로 지자체나 국가의 애물단지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 국제행사장이 전국에 한두 곳이 아니다. 

우선 대전엑스포를 들 수 있다. 엑스포가 끝난 후 해가 갈수록 적자운영으로 우환이 되다가 엑스포과학공원으로 거듭나는가 했더니 결국은 견디지 못하고 20여 년 만인 지난달 19일 미래창조과학부 ‘제7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에서 철거하는 것으로 결정 났다. 따라서 11월 말부터 철거를 시작해 내년 8월이면 국제회의장과 시뮬레이션관만 남기고 역사 속으로 자취를 감춘다.

대전엑스포는 1993년 개발도상국 최초로 개최했으며 연인원 1,400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엑스포 대회장 건설 등에 4,000여억 원을 투입했으며, 그 당시 정부는 사후관리로 미국 디즈니랜드 앱콥센터 모델을 참조해 엔터테인먼트 ? 과학단지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민자 유치에 실패하면서 무산되고 매년 100여억 원의 적자를 내면서 재단기금 986억 원도 날려버리고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자리에는 기초과학연구원(IBS)과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들어선다.

김충석 전 여수시장은 여수세계엑스포가 신의 축복과 시민의 헌신적 노력으로 성공개최를 했다며 지난해 ‘관광객 천만 명 시대 Oh! Yeosu’ 관광 비전 선포식 가졌다. 그는 “박람회를 통해 높아진 국제적 인지도와 기반을 활용해 2020까지 국제 해양관광 레저 스포츠 문화 수도를 만드는 것이 시대적 소망”이라며 여수를 세계 4대 미항으로 세계적 관광도시를 만들겠다는 야심에 찬 포부도 밝혔었다. 하지만 여수세계박람회 폐막 후 2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사후 활용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매년 40억 원의 적자만 쌓고 있다.

여수세계엑스포는 1993년 대전엑스포 이후 19년 만인 2012년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두 번째 박람회로 총 사업비 2조 1,000억 원의 엄청난 혈세가 투입된 매머드급 국제행사였다. 박람회 유치로 인한 경제적 기대효과는 전국적으로 약 12조 2,000억 원의 생산을 유발하고, 약 7만 9,000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었다. 또한, 해양산업과 첨단 해양과학기술 발전을 견인하고 남해안 일대가 수도권에 대응한 새로운 국토성장의 발전 축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아직도 사후관리 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갈 길을 헤매고 있으니 걱정스럽다.

국제자동차경주대회(F1)는 유지비가 없어 아예 중단된 상태다. 전남도가 유치한 F1은 2010년부터 7년간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지난해 말 세계모터스포츠평의회(WMSC) 총회에서 한국을 2014년 개최지에서 제외했다. F1은 개최 첫해인 2010년부터 4회째를 치른 지난해까지 누적적자만 1,910억 원으로 지자체 파산제 도입논란까지 빚었다. 매년 F1 대회 운영사에 4,370만 달러(약 463억 원)의 개최권료를 내야 하는데 전남도는 이를 감당하지 못해 2,000만 달러(약 212억 원)로 인하를 요청했지만, 협상이 무산되면서 개최 일정에서 제외됐다. 내년에도 개최지에서 탈락하자 지자체 관계자는 오히려 개최하지 않는 것이 지자체 재정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국제행사뿐만 아니라 스포츠대회나 축제 등 크고 작은 행사에서 국고를 낭비하고 청사진을 펼쳤던 기대효과가 물거품이 돼버린 사례들은 부지기수다.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지만 우선 개최하고 보자는 선출직의 임기 중 치적 쌓기용 행사이기 때문이다. 그 피해는 모두 우리 국민이 갚아야 할 빚이다. 이제 더 이상 혈세만 축내는 생색내기 과시용 행사는 그만해야 한다. 허리띠를 졸라매며 생계에 아우성치는 국민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