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_left
search

 

 

ȭ
ȭ

가공용 벼 재배, 정부 전남 지자체‘엇박자’

  / 2014-05-09 09:58:52

정부는 2011년부터 가공용 벼 재배를 적극 장려하고 있지만, 전남지역에서는 반대로 이를 극구 말리고 있다. 판로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가공용 벼가 일반 벼에 섞여 유통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가공용 벼 재배를 두고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엇박자’를 내고 있는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1년부터 3년 동안 ‘논 소득기반 다양화사업’으로 가공용 벼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계약재배 농가에 대해 1㏊당 220만원의 보조금까지 지급했다. 이는 쌀 소득보전 고정 직불금이 1㏊당 90만원 내외인 점과 비교하면 2.4배가량 많은 금액이다. 게다가 보람찬, 희망찬, 드래찬 벼 등 가공용 벼는 1000㎡(약 302평)당 수량이 750㎏ 내외로 일반벼의 570㎏보다 30%가량 높다. 지난해 전국에서 계약 재배한 가공용 벼 면적은 3765㏊에 달한다. 전남지역도 전체의 21% 정도인 780㏊를 계약 재배했다.

문제는 지난해 가공용 벼 시범사업이 종료돼 올해부터 보조금이 없어지고, 가공업체와의 계약재배도 기대하기 힘들게 됐다는 것이다. 농협과 지자체는 올해부터 판로가 불투명해진 만큼 가공용 벼와 일반 벼의 혼입 유통이 크게 늘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전남도의 한 관계자는 “농가에서 품질을 높여 가격을 30% 더 받기는 힘들어도 가공용 벼로 수량을 높여 수입을 늘리는 것은 쉬운 일 아니겠느냐”면서 “더구나 가공용 벼는 일반 벼와 외관상 쉽게 구분도 안 돼 농가가 부정 유통을 목적으로 재배할 경우 전남쌀의 고품질 브랜드 이미지를 크게 훼손할 것”이라며 걱정했다.

전남지역 지자체들은 가공용 벼의 안정적인 판로가 없는 한 재배중단이 최선책이라고 판단, 농가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농식품부는 내년에 보조금 예산 반영을 적극 추진하는 등 가공용 벼 장려 정책을 고수할 방침이어서 지자체와 다른 의견을 보이고 있다. 일반 벼와의 혼입유통 우려가 있지만 수입 밀가루?쌀을 대체한 우리쌀 소비촉진과 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해 가공용 벼 재배 정책은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